영화 리뷰

악마와의 토크쇼 리뷰 | 넷플릭스 | 미디어와 오컬트의 경계

OTT 결제했어요. 2025. 6. 2. 14:38
반응형

2023년에 공개된 《악마와의 토크쇼》(Late Night with the Devil)는 콜린 케언스와 캐머런 케언스 감독이 연출한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아랍에미리트 합작의 초자연 공포 영화입니다.
데이비드 다스트말치언이 주연을 맡아, 1970년대 심야 토크쇼를 배경으로 한 파운드 푸티지 형식의 이야기를 전개합니다.


영화 '악마와의 토크쇼' 포스터 – 생방송 중 벌어진 초자연적 사건과 미디어의 어두운 이면을 그린 공포 스릴러


《악마와의 토크쇼》는 1970년대 미국의 심야 방송을 배경으로, 미디어의 윤리와 오컬트 문화의 경계를 탐구하는 독창적인 공포 영화입니다. 파운드 푸티지 형식을 활용하여 생방송 중 벌어지는 초자연적 사건을 실감나게 그려냅니다.


1. 줄거리

예고편으로 분위기를 먼저 확인해 보세요!

1977년 핼러윈 전날 밤, 심야 토크쇼 '올빼미 쇼'의 진행자 잭 델로이는 시청률을 높이기 위해 오컬트를 주제로 한 특별 방송을 기획합니다. 영매 크리스투, 회의론자 카마이클 헤이그, 초심리학자 준 로스미첼, 그리고 사탄교 집단 자살의 생존자 릴리 디아보를 초대하여 생방송을 진행하던 중, 예기치 못한 초자연적 현상이 발생하며 방송은 혼란에 빠집니다. 이 사건은 이후 47년간 숨겨졌다가 최근에야 공개된다는 설정으로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2. 주요 포인트

파운드 푸티지 형식: 생방송 중 촬영된 영상을 활용하여 현실감을 극대화합니다.

미디어의 윤리적 딜레마: 시청률을 위해 위험한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송국의 행태를 비판합니다.

오컬트 문화의 재현: 1970년대 미국의 오컬트 붐을 사실적으로 묘사합니다.

심리적 공포의 강조: 시각적 효과보다 심리적 긴장감을 통해 공포를 전달합니다.

배우들의 열연: 데이비드 다스트말치언과 잉그리드 토렐리의 연기가 극의 몰입도를 높입니다.


3. 인상 깊은 장면

영화의 클라이맥스에서는 릴리 디아보가 악마에 빙의되어 초자연적 현상을 일으키는 장면이 인상적입니다. 생방송 중 그녀의 눈이 뒤집히고, 전자기기가 오작동하며, 주변 인물들이 공포에 휩싸이는 모습은 관객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이 장면은 미디어의 윤리적 한계와 인간의 호기심이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반응형

4. 등장인물 소개

  • 데이비드 다스트말치언: 잭 델로이 역. 시청률에 집착하는 심야 토크쇼 진행자로, 초자연적 사건에 휘말리며 변화하는 인물을 연기합니다.
  • 로라 고든: 준 로스미첼 역. 초심리학자로, 릴리 디아보를 연구하며 방송에 참여합니다.
  • 이안 블리스: 카마이클 헤이그 역. 전직 마술사이자 회의론자로, 초자연 현상을 부정합니다.
  • 파이살 바지: 크리스투 역. 자칭 영매로, 방송 중 이상 현상을 겪습니다.
  • 잉그리드 토렐리: 릴리 디아보 역. 사탄교 집단 자살의 생존자로, 방송 중 악마에 빙의됩니다.

5. 함께 보면 좋은 리뷰

  • 《엑소시스트》 – 악마 빙의를 다룬 고전 공포 영화로, 초자연적 현상의 공포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 《고스트워치》 – 가짜 다큐멘터리 형식의 공포 영화로, 미디어의 영향력을 탐구합니다.
  • 《더 레잇 쇼》 – 심야 토크쇼의 이면을 그린 드라마로, 방송인의 고뇌를 엿볼 수 있습니다.

6. 시청 등급 및 유의사항

  • 시청 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 유의사항: 일부 장면에서의 폭력성과 공포 요소로 인해 민감한 시청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 글은 2025-05-27에 작성되었습니다.


마지막까지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시간이 당신의 하루에 작은 쉼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리뷰가 마음에 드셨다면, 다른 이야기에서도 다시 만나뵐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아래 태그를 누르면 장르별·플랫폼별 작품 리뷰 목록을 확인할 수 있어요.

장르별 리뷰 바로가기

OTT 플랫폼별 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