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리뷰

1987 리뷰 | 넷플릭스·티빙·쿠팡플레이·왓챠 | 진실을 향한 외침과 기억의 연대기

OTT 결제했어요. 2025. 5. 17. 12:29
반응형

1987 리뷰 | 넷플릭스·티빙·쿠팡플레이·왓챠 | 진실을 향한 외침과 기억의 연대기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블로그는 넷플릭스, 디즈니+, 티빙 등 다양한 OTT에서 공개된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을 리뷰합니다.
감정과 이야기, 장르와 메시지를 함께 나누는 이 공간에서 잠시 머물러 가시길 바랍니다.


영화 1987의 공식 포스터. 하단에는 김태리, 유해진, 김윤석, 하정우 등 주요 인물 7명이 정면을 응시하고 있으며, 상단에는 1987년 6월 항쟁 당시 시위 군중이 가득한 거리의 흑백 사진과 함께 숫자 1987이 크게 새겨져 있음
영화 1987의 공식 포스터. 하단에는 김태리, 유해진, 김윤석, 하정우 등 주요 인물 7명이 정면을 응시하고 있으며, 상단에는 1987년 6월 항쟁 당시 시위 군중이 가득한 거리의 흑백 사진과 함께 숫자 1987이 크게 새겨져 있음


《1987》은 민주주의를 향한 국민들의 외침과 그 속에서 태어난 수많은 이름 없는 영웅들의 용기를 사실적으로 담아낸 영화로, 시대를 관통하는 감정적 울림을 선사한다.


1. 줄거리

예고편으로 분위기를 먼저 확인해 보세요!

1987년 1월, 서울대학교 학생 박종철이 경찰 조사 중 고문에 의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정권은 사건을 은폐하려 하지만, 검사, 기자, 교도관, 대학생 등 각자의 위치에서 진실을 밝히려는 사람들이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들의 용기 있는 행동은 전국적인 저항의 물결을 일으키며, 결국 6월 민주항쟁이라는 역사의 전환점을 만들어낸다. 영화는 이 거대한 흐름 속에서 평범한 사람들이 어떤 선택을 했는지를 진정성 있게 그려낸다.


2. 주요 포인트

①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서사 구조
② 입체적으로 구성된 다수의 인물군과 교차 서사
③ 장준환 감독의 묵직하고 균형 잡힌 연출
④ 시대적 질감을 완성한 미술·의상·음향 설계
⑤ 정의와 진실, 기억과 기록의 윤리적 메시지


3. 인상 깊은 장면

1987년 6월 항쟁이 절정에 달한 시점, 시위 군중들이 "호헌 철폐, 독재 타도"를 외치며 경찰 저지선을 뚫는 장면은 영화 전체의 정서를 응축한 핵심이다. 수만 명의 시민이 도로를 가득 메운 화면은 단순한 재현을 넘어선 감정적 파동을 전한다. 이 장면은 관객에게 '기억해야 할 역사'라는 공동의 과제를 되새기게 하며, 민주주의란 단순한 제도가 아닌 시민의 연대로 지켜지는 가치임을 명확히 보여준다.

반응형

4. 등장인물 소개

  • 김윤석: 박처장 역. 진실을 은폐하려는 권력의 중심에 선 냉혹한 경찰 간부.
  • 하정우: 최검사 역. 체제 내부에서 진실을 밝히려는 강단 있는 검사.
  • 유해진: 한병용 역. 양심과 현실 사이에서 갈등하며 내부 폭로를 감행한 교도관.
  • 김태리: 연희 역. 처음엔 무관심했지만, 결국 진실을 마주하고 결단하는 대학생.
  • 박희순: 윤기자 역. 탐사 보도를 통해 사건의 실체를 세상에 드러내는 언론인.
  • 이희준: 박종철 역. 죽음으로 시작된 모든 진실의 시작점에 선 대학생.

5. 함께 보면 좋은 리뷰

  • 《변호인》 – 부당한 체제에 맞선 변호인의 이야기로, 법과 정의의 가치를 다시 생각하게 한다.
  • 《남영동 1985》 – 고문실 내부의 진실을 통해 권력의 민낯을 드러내는 작품.
  • 《택시운전사》 – 1980년 광주에서 벌어진 참상을 한 인물의 시선으로 조명한 영화.

6. 시청 등급 및 유의사항

  • 시청 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 유의사항: 고문, 시위, 체포 장면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서적 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음.

이 글은 2025-05-17에 작성되었습니다.


마지막까지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시간이 당신의 하루에 작은 쉼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리뷰가 마음에 드셨다면, 다른 이야기에서도 다시 만나뵐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아래 태그를 누르면 장르별·플랫폼별 작품 리뷰 목록을 확인할 수 있어요.

장르별 리뷰 바로가기

OTT 플랫폼별 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