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onfig/session-cache-config.xml

<!-- example -->

     <cache-mapping>

      <cache-name>example@</cache-name>

      <scheme-name>distributed</scheme-name>

     </cache-mapping>

 

<!-- example -->

     <distributed-scheme>

      <scheme-name>distributed</scheme-name>

      <service-name>DistributedCache</service-name>

      <backing-map-scheme>            <local-scheme/>         </backing-map-scheme>

      <autostart>true</autostart>

    </distributed-scheme>

 

 

반응형

' > W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로직 계정변경  (0) 2019.11.29
BEA-170011  (0) 2019.11.29
weblogic session cluster / 웹로직 세션 클러스터링  (0) 2019.11.29
weblogic.xml  (0) 2019.11.29
secure cookies  (0) 2019.11.29
반응형

weblogic.xml

 

replicated_if_clustered

 

반응형

' > W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A-170011  (0) 2019.11.29
coherence cache factory / 코헤런스 캐시팩토리  (0) 2019.11.29
weblogic.xml  (0) 2019.11.29
secure cookies  (0) 2019.11.29
WebLogic window service / 웹로직 윈도우 서비스 등록  (0) 2019.11.29
반응형

 

Namespace

 

Descriptor

Parameter

Remarks

<session-descriptor>

<timeout-secs>

세션 타임아웃 시간, 기본단위 초(secs) web.xml의 session-timeout(분)이 설정되어 있다면, web.xml 설정값이 우선함

<invalidation-interval-secs>

Bound된 Session을 Invalid 시킨다.

<sharing-enabled>

웹어플리케이션에서 세션을 공유할 때, 설정

<debug-enabled>

HTTP sessions의 Debug 사용

<id-length>

세션 ID 길이를 설정하는 값

<tracking-enabled>

HTTP requests의 session tracking 활성화

<cache-size>

JDBC와 file-persistent sessions의 cache size 설정

<max-in-memory-sessions>

허용 Sesssion 최대 수 설정

<cookies-enabled>

Session cookies 사용 설정

<cookie-name>

Session tracking cookie 이름

<cookie-path>

Session tracking cookie path 설정

<cookie-domain>

cookie에 domain 설정, 설정된 Domain만 사용가능하다.

<cookie-comment>

cookie에 주석 설정

<cookie-secure>

HTTPS를 사용하여 cookie 전송여부

<cookie-max-age-secs>

cookie 최대 유지 시간

<persistent-store-type>

memory : session storage 지속 사용 해제

replicated : memory와 같음, session data는 클러스터 서버에 복제

replicated_if_clustered : 웹 어플리케이션을 deploy할때, session storage이 클러스터 서버에 복제한다

async-replicated : 비동기 세션 복제

async-replicated-if-clustered : 활성화된 비동기 세션을 클러스터 환경의 웹어플리케이션에 복제한다. 단일 서버에 deploy시 세션 지속성/복제는 memory로 기본설정 된다.

file : 파일 기본 지속성 사용

async-jdbc : 어플리케이션에서 HTTP 세션에 대한 비동기 JDBC 지속성을 사용

jdbc : 영구적인 세션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사용

cookie : 모든 세션 데이터는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있는 쿠키에 저장.

<persistent-store-cookie-name>

cookie 기반 지속성에 사용되는 쿠키의 이름을 설정

<persistent-store-dir>

파일기반 지속성에 사용되는 저장 디렉토리 지정

<persistent-store-pool>

지속성을 유지할 저장 JDBC Pool의 이름을 지정

<persistent-store-table>

JDBC 기반 영구 세션 저장시 사용할 DB 테이블 지정. (persistent-store-type 이 JDBC일 경우만 사용)

<jdbc-column-name-max-inactive-interval>

wl_max-inactive-interval 칼럼의 alternative 제공

<jdbc-connection-timeout-secs>

* 사용 중지 항목

<url-rewriting-enabled>

Cookie가 브라우저에서 비활성화 될 경우 Session ID로 tracking하여 URL 사용

<http-proxy-caching-of-cookies>

FALSE로 설정시, 쿠키를 캐시하지 않는다.

<encode-session-id-in-query-params>

최신 서블릿은 컨테이너에 session ID 인코딩이 필요. 특정 웹 서버 파라미터 경로가 잘 작동하지 않을때, TRUE 설정

<runtime-main-attribute>

ServletSessionRuntimeMBean에 사용 getMainAttribute()는 이 문자열을 key로 세션 속성값을 반환한다.

<cookie-http-only>

모든 세션 쿠키는 브라우저 스크립트를 사용한다.

<jsp-descriptor>

<page-check-seconds>

JSP 파일 변경 여부 확인하고 재 컴파일되는 초 간격을 설정

<precompile>

TRUE로 설정시 응용 프로그램을 배포하거나 재 배치할 때 자동으로 수정된 JSP 파일을 컴파일한다.

<precompile-continue>

TRUE로 설정시 JSP 파일의 일부가 컴파일시 실패해도, 모든 수정된 JSP 파일을 컴파일 한다.

<keepgenerated>

TRUE로 설정시 JSP 파일 컴파일시에 생성된 자바 파일을 저장

<verbose>

TRUE로 설정시 디버깅 정보는 브라우저 명령 프롬프트와 웹로직 서버 로그 파일에 출력한다.

<working-dir>

JSP 컴파일시 생성된 class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설정

<print-nulls>

FALSE로 설정시, "null" 파라미터 값은 " " 로 표현

<backward-compatible>

TRUE로 설정시, 이전 버전과 호환된다.

<encoding>

JSP 페이지에서 사용되는 encoding 문자열 사용, default는 jsp encoding

<package-prefix>

모든 JSP 페이지가 컴파일되는 prefix 지정

<exact-mapping>

TRUE로 설정시, 첫번째 요청으로 새로 만들어지는 JSP 파일은 정확히 요청에 매핑됨. FALUSE로 설정시 웹 응용 프로그램 컨테이너가 JSP가 아닌 정확한 URL 매핑을 생성한다.

<default-file-name> 웹로직 서버가 JSP에 대해 생성된 JAVA와 Class 파일을 저장하는 기본 파일이름.
<rtexprvalue-jsp-param-name> TRUE로 설정시, jsp:param 태그의 속성은 런타임 속성 값의 이름을 따른다.
<optimize-java-expression> TRUE로 설정시, JSP 컴파일러는 런타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JAVA 표현을 최적화 합니다.
<compress-html-template> TRUE로 설정시, 런타임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JSP의 HTML을 압축합니다. &lt;pre&gt; 기능 사용 불가
<container-descriptor> <check-auth-on-forward> Servlet 또는 JSP의 전달 요청에 인증이 필요할 때 태그를 사용. * Oracle에서 해당 설정은 하지 않는 것을 권고
<redirect-with-absolute-url> TRUE로 설정시, 절대적 URL을 사용하여 redirect
<index-directory-enabled> 디렉토리 리스팅 활성, 비활성화
<index-directory-sort-by> weblogic.servlet.FileServlet에 의해 생성된 디렉토리 목록이 정렬되는 순서. NAME, LAST_MODIFIED, SIZE
<servlet-reload-check-secs>

Servlet이 수정되었는지 확인하고 수정되었으면, 적용 단위 시간, 관리 콘솔에 지정된 값이 우선한다.

-1 : Servlet 확인 않함, 0 : 항상 Servlet을 확인, 1: 1초에 한번씩 Servlet 확인

<resource-reload-check-secs>

resource가 수정될 경우, 리로드 단위 시간, 단 <page-check-seconds>가 설정되어 있으면, <page-check-seconds>를 따른다. 관리 콘솔에 지정된 값이 우선한다.

-1 : reload 하지 않음, 0: 항상 reload, 1 : 1초에 한번씩 reload

<single-threaded-servlet-pool-size> SingleThreadMode 인스턴스 풀의 크기를 지정한다. * 현 버전에서 사용되지 않음
<session-monitoring-enabled> TRUE로 설정시 런타임 Mbeans는 세션을 만든다. 단, 관리 콘솔 지정된 값이 우선한다.
<save-sessions-enabled> TRUE로 설정시, redeploy 나 undeploy시에도 session data 저장. FALSE로 설정시, 사라짐.
<prefer-web-inf-classes> TRUE로 설정시, application 실행시 weblogic이 내장하고 있는 라이브러리보다, 배포폴더(WEB-INF\lib)의 라이브러리를 먼저 적용
<default-mime-type> MIME 매핑값을 설정
<client-cert-proxy-enabled> TRUE로 설정시, 각 웹로직 서버 인스턴스는 프록시 서버 플러그인이 실행되는 컴퓨터의 연결을 허용한다. connection filter를 지정하지 않고 사용시, 잠재적 보안 취약점이 생길 수 있다.
<relogin-enabled> 사용자가 이미 로그인되어 있거나, 권한이 없을때 리소스에 액세스 시도시, FORBIDDEN(403) 에러 발생
<allow-all-roles> 웹 응용 프로그램에서 * (모든 범위) 사용 허용, 기본적으로 web.xml 설정이 우선한다.
<native-io-enabled> TRUE로 설정시, 정적 파일을 default servlet에 등록하여 제공한다. Windows에 적용된다.
<minimum-native-file-size> native-io-enabled가 true일때 사용, native I/O를 사용하기 위한 최소 파일 크기를 설정(byte)
<disable-implict-servlet-mappings> TRUE로 설정시, 웹어플리케이션 컨테이너는 내부 servlet(*.jsp, *.class) 매핑을 생성하지 않습니다. 기본 servlet mapping 사용
<temp-dir> 임시 디렉토리 위치 지정
<optimistic-serialization> TRUE로 설정시, getAttribute(name)이 servlet을 통해 전송될때, serialize-deserialize 하지 않는다. Weblogic.xml에 해당 값을 설정시, domain의 설정값은 무시된다.
<show-archived-real-path-enabled> TRUE로 설정시, getRealpath()는 resource 파일의 표준 경로를 반환한다. FALSE로 설정시 웹응용프로그램에서 파일의 실제 경로를 반환한다.
<require-admin-traffic> TRUE로 설정시 traffic이 관리자 채널을 통해 이동하는 것을 허용.
<access-logging-disabled> TRUE로 설정시 logging overhead를 줄여 서버 처리량을 향상시킨다. FALSE로 설정시 응용 프로그램 액세스가 기록됨.
<prefer-forward-query-string>

TRUE로 설정시 웹로직 서버는 오직 전달된 query string만 반환한다.

<charset-params>

<input-charset>

URL에 <resource-path> 경로가 포함되어 있을경우, <java-charset-name> 의 문자열로 지정
<charset-mapping> <iana-charset-name>에 지정된 IANA 문자열을 <java-charset-name>요소로 문자열 지정
<virtual-directory-mapping> <local-path> 디스크의 물리적 위치를 지정
<url-pattern> 매핑될 URL 패턴 설정
<url-match-map> Default 값은 J2EE 표준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웹로직 서버에 포함된 다른 구현 SimpleApacheURLMatchMap을 사용할 수 있다.
<security-permission> 보안 정책 파일 구문을 기반으로 한 보안 권한을 지정.
<context-root> context root 설정
<wl-dispatch-policy> WORK MANAGER 이름을 식별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의 WORK MANAGER로 할당한다. 이 요소를 설정하면, 웹 어플리케이션 레벨 파라미터는 무시될 수 있다.
<servlet-descriptor> <servlet-name> 배치된 web.xml의 서블릿 요소에 정의된 서블릿 이름을 지정.
<run-as-principal-name> web.xml에 run-as-role-name로 정의된 이름 대신 주요 이름으로 지정
<init-as-principal-name> run-as-principal-name 의 초기화 이름을 지정한다.
<destroy-as-principal-name> servlet의 run-as-principal-name을 제거하는 메소드로 사용한다.
<dispatch-policy> *사용하지 않는 옵션, wl-dispathc-policy가 정의되어진 값을 사용.
<work-manager> <name> WORK MANAGER 이름

<response-time-requsest-class>

<fair-share-requset-class>

<context-request-class>

<request-class-name>

<response-time-request-class> 응답시간에 대한 목표 값을 정의. 목표값을 넘은 thread에 관하여요청에 대한 평균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스케쥴링 요청

<fair-share-request-class> 요청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평균 thread 시간을 지정 default는 50

<context-request-class> 현재 유저나 현재 유저 그룹과 같은 context 정보를 기반으로 들어온 요청에 request-class-name 을 지정

<request-class-name> request-class-name 을 정의한다.

<min-threads-constraint>

<min-threads-constraint-name>

교착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할당한 값만큼 최소한의 threads 수를 설정한다.

<max-threads-constraint>

<max-threads-constraint-name>

현재 실행되고 있는 requests의 스레드의 최대값을 제한할 수 있다.

<capacity>

<capacity-name>

서버는 request가 capacity에 도달하였을때, HTTP 503 에러와 함께 request를 거절합니다.
<logging> <log-filename> 로그 파일 이름을 지정. 파일 이름의 전체 주소 필요
<logging-enabled> TRUE로 설정시 생성된 로그를 지정된 파일에 씁니다.
<rotation-type>

파일 순환 타입을 설정

bySize : 로그 파일이 지정한 file-size-limit에 도달하면 서버는 파일이름을 변경 한다.

byTime: 각 시간 간격으로 지정한 file-time-span 값에 따라 파일 이름을 변경한다.

None : 단일 파일에 축적됩니다. 크기가 커지면 내용을 삭제해줘야 합니다.

<number-of-files-limited> TRUE로 설정시, 로그 파일 생성 수를 제한한다.(rotation-type이 bySize로 되어있을때), 제한 숫자가 넘어가면 가장 오래된 파일에 로그를 기록한다.)
<file-count> 해당 지정 숫자만큼 로그 파일 생성 수를 제한한다. (number-of-files-limited가 TRUE로 되어 있어야 한다.)
<file-size-limit> 파일당 로그를 기록하는 제한 용량입니다. (rotation-type 이 bySize로 지정되어 있을때)
<rotate-log-on-startup> 서버의 시작주기 단위로 로그 파일 순환 여부를 지정한다.
<log-file-rotation-dir> 순환 로그 파일이 저장될 디렉토리 경로를 지정
<rotation-time> 로그 파일의 시간 기반 순환 기록 시작 시간 지정 hh:mm 형식 (rotation-type 이 byTime 으로 되어있을때)
<file-time-span> 로그 파일을 다른 파일에 순환 기록 시간 간격 지정 (rotation-type이 byTime 으로 되어있을때)
<library-ref> <library-name> 라이브러리 모듈 참조를 위해 라이브러리 이름 지정
<specification-version> 라이브러리 모듈 참조 사양 버전 지정
<implementation-version> 라이브러리 모듈 참조 구현 버전 지정
<exact-match> 위의 사양이 완전히 일치하는지 여부를 지정합니다.
<fast-swap> <enabled> TRUE로 설정시 어플리케이션 deploy시 FASTSWAP을 활성화 한다.
<refresh-interval> 해당 지정 초마다 응용프로그램 class의 변경사항을 확인 및 초기화.
<redefinition-task-limit> 중복 정의시 비동기적으로 수행. 재정의 작업의 수를 지정. 작업의 수가 지정 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전 작업이 자동으로 제거

 

 

반응형
반응형

<weblogic-web-app>

     <session-descriptor>

          <cookie-http-only>false</cookie-http-only>

          <cookie-name>JSESSIONID</cookie-name>

          <cookie-secure>true</cookie-secure>

          <url-rewriting-enabled>false<url-rewriting-enabled>

     <session-descriptor>

</weblogic-web-app>

 

반응형
반응형

스크립트 생성후 정상적으로 기동이 안될 경우

레지스트 확인

경로: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beasvc iscu_mobile_was_mobile_was\Parameters

 

Parameters의 CmdLine 값 데이터 확인

- 정상적으로 자바옵션이 적용되었는지/중복되었는지 확인

 

 

http://docs.oracle.com/cd/E13222_01/wls/docs81/adminguide/winservice.html

 

반응형

' > W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logic.xml  (0) 2019.11.29
secure cookies  (0) 2019.11.29
Weblogic Patch / 웹로직 패치  (0) 2019.11.29
weblogic 8 certification  (0) 2019.11.29
재기동시 다른 컨테이너로 세션 이동  (0) 2019.11.29
반응형

0. 웹로직 종료

 

1. weblogic/utils/bsu 디렉토리로 이동

 

2. weblogic/utils/bsu/cache_dir 디렉토리 생성

 

3. weblogic/utils/bsu/cache_dir로 이동

 

4. 첨부파일을 cache_dir로 업로드

 

5. 업로드된 zip파일 압축해제

 

6. 압축을 해제하면 5B41.jar, patch-catalog_15563.xml, README.txt 존재하는지 확인

 

7. patch-catalog_15563.xml을 patch-catalog.xml 로 이름 변경

 

8. /disk/weblogic/utils/bsu 디렉토리로 이동.

 

9 ./bsu.sh -prod_dir=$WEBLOGIC_HOME -patchlist=패치번호 -verbose -install 명령어 입력

 

   (ex.    ./bsu.sh -prod_dir=/disk/weblogic/wlserver_10.3 -patchlist=5B41 -verbose -install  )

 

10. 명령어 실행 후 다음과 메세지가 출력되는지 확인.

Starting installation of Patch ID: 5B41

Installing /disk/weblogic/utils/bsu/cache_dir/5B41.jar

Backing up /disk/weblogic/wlserver_10.3/server/lib/consoleapp/webapp/WEB-INF/lib/console.jar into /disk/weblogic/patch_wls1030/backup/backup.jar

Extracting /disk/weblogic/wlserver_10.3/server/lib/consoleapp/webapp/WEB-INF/lib/console.jar

Result: Success

 

11. 패치가 정상적으로 적용되었는지 확인

(ex. ./bsu.sh -prod_dir=/disk/weblogic/wlserver_10.3 -verbose -view -status=applied  )

 

ProductName:       WebLogic Server

ProductVersion:    10.3

Components:        WebLogic Server/Core Application Server,WebLogic Server/Admi

 

                   nistration Console,WebLogic Server/Configuration Wizard and

 

                   Upgrade Framework,WebLogic Server/Web 2.0 HTTP Pub-Sub Serve

 

                   r,WebLogic Server/WebLogic JDBC Drivers,WebLogic Server/Thir

 

                   d Party JDBC Drivers,WebLogic Server/WebLogic Server Clients

 

                   ,WebLogic Server/WebLogic Web Server Plugins,WebLogic Server

 

                   /UDDI and Xquery Support,WebLogic Server/Server Examples,Web

 

                   Logic Server/Evaluation Database,WebLogic Server/Workshop Co

 

                   de Completion Support

 

BEAHome:           /disk/weblogic

ProductHome:       /disk/weblogic/wlserver_10.3

PatchSystemDir:    /disk/weblogic/utils/bsu

PatchDir:          /disk/weblogic/patch_wls1030

Profile:           Default

DownloadDir:       /disk/weblogic/utils/bsu/cache_dir

JavaHome:          /disk/weblogic/jdk160_05

JavaVersion:       1.6.0_05

JavaVendor:        Sun

 

Patch ID:          5B41

PatchContainer:    5B41.jar

Checksum:          393824870

Severity:          optional

Category:          Console

CR:

Restart:           true

Description:       10.3GA - EXCEPTION THROWN WHILE CLICKING GENERAL TAB IN WLS CONSOLE

 

12. 웹로직 기동.

 

 

 

반응형

' > W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cure cookies  (0) 2019.11.29
WebLogic window service / 웹로직 윈도우 서비스 등록  (0) 2019.11.29
weblogic 8 certification  (0) 2019.11.29
재기동시 다른 컨테이너로 세션 이동  (0) 2019.11.29
웹로직 패스워드 변경  (0) 2019.11.29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DynamicServerList OFF

          Idempotent OFF

 

반응형
반응형

WebLogic 8.1

1. cd $DOMAIN_HOME

2. . ./setEnv.sh

3. DefaultAuthenticatorInit.ldift 백업

4. java weblogic.security.utils.AdminAccount <id> <password> .    <---- "." 꼭 찍을것

5. $DOMAIN_HOME/<SERVER_NAME> 디렉터리 mv

mv DefaultAuthenticatormyrealmInit.initialized DefaultAuthenticatormyrealmInit.initialized.20160527

6. boot.properties 수정

7. stopt 스크립트 수정

8. 재기동

 

 

 

WebLogic 9 ~ higher

1. cd $DOMAIN_HOME/bin

2. . ./setDomainEnv.sh

3  $DOMAIN_HOME/security 디렉토리 cp 백업

4. cd $DOMAIN_HOME/security

5. java weblogic.security.utils.AdminAccount <id> <password> .    <---- "." 꼭 찍을것

6. $DOMAIN_HOME/servers/<SERVER_NAME> 디렉토리 mv

7. boot.properties 내용 변경

8. 서버 재기동

 

 

 

위 설정 후 기동시 아래와 같이 에러가 나면

####<Mar 6, 2012 6:32:33 AM GMT+00:00> <Critical> <Security> <euospoaf03> <OAF2_11> <[ACTIVE] ExecuteThread: '0' for queue: 'weblogic.kernel.Default (self-tuning)'> <<WLS Kernel>> <> <> <1331015553473> <BEA-090402> <Authentication denied: Boot identity not valid; The user name and/or password from the boot identity file (boot.properties) is not valid. The boot identity may have been changed since the boot identity file was created. Please edit and update the boot identity file with the proper values of username and password. The first time the updated boot identity file is used to start the server, these new values are encrypted.>

 

####<Mar 6, 2012 6:32:33 AM GMT+00:00> <Critical> <WebLogicServer> <euospoaf03> <OAF2_11> <main> <<WLS Kernel>> <> <> <1331015553474> <BEA-000386> <Server subsystem failed. Reason: weblogic.security.SecurityInitializationException: Authentication denied: Boot identity not valid; The user name and/or password from the boot identity file (boot.properties) is not valid. The boot identity may have been changed since the boot identity file was created. Please edit and update the boot identity file with the proper values of username and password. The first time the updated boot identity file is used to start the server, these new values are encrypted.

weblogic.security.SecurityInitializationException: Authentication denied: Boot identity not valid; The user name and/or password from the boot identity file (boot.properties) is not valid. The boot identity may have been changed since the boot identity file was created. Please edit and update the boot identity file with the proper values of username and password. The first time the updated boot identity file is used to start the server, these new values are encrypted.

        at weblogic.security.service.CommonSecurityServiceManagerDelegateImpl.doBootAuthorization(Unknown Source)

        at weblogic.security.service.CommonSecurityServiceManagerDelegateImpl.initialize(Unknown Source)

        at weblogic.security.service.SecurityServiceManager.initialize(Unknown Source)

        at weblogic.security.SecurityService.start(SecurityService.java:141)

        at weblogic.t3.srvr.SubsystemRequest.run(SubsystemRequest.java:64)

        at weblogic.work.ExecuteThread.execute(ExecuteThread.java:201)

        at weblogic.work.ExecuteThread.run(ExecuteThread.java:173)

>

1. boot.properties를 새로 만든다.

2. servers의 서버디렉토리 삭제를 한다.

 

 

반응형
반응형
Statement Timeout

The time after which a statement currently being executed will time out.

StatementTimeout relies on underlying JDBC driver support. WebLogic Server passes the time specified to the JDBC driver using the java.sql.Statement.setQueryTimeout() method. If your JDBC driver does not support this method, it may throw an exception and the timeout value is ignored.

A value of -1 disables this feature.

A value of 0 means that statements will not time out.

MBean Attribute (Does not apply to application modules) : 

JDBCConnectionPoolParamsBean.StatementTimeout

Minimum value: -1

Maximum value: 2147483647

Changes take effect after you redeploy the module or restart the serve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