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애니메이션 제작·연출 용어 정리 – 애니는 이렇게 만들어진다
읽는 시간: 약 5분
1. 애니메이션 제작 구조와 연출 관련 용어
- 쿨(Cour): 애니메이션의 한 시즌을 의미하며, 보통 12~13화로 구성된다.
- 콘티(Continuity): 장면 구성, 컷 배치, 대사, 카메라 움직임 등이 포함된 전체 흐름 설계도.
- 원화(Key Animation): 주요 동작을 담당하는 핵심 그림으로 캐릭터의 움직임을 정의한다.
- 중간화(In-between Animation): 원화 사이를 자연스럽게 이어주는 그림. 움직임의 부드러움을 위해 필요하다.
- 레이아웃(Layout): 콘티를 바탕으로 캐릭터의 위치, 배경, 구도를 결정하는 설계 그림.
- 콤마(코마): 한 장의 그림이 몇 프레임에 걸쳐 재생되는지를 나타내는 단위. 애니메이션의 리듬을 조정한다.
2. 작화와 감독 역할 관련 용어
- 작화감독(Animation Director): 전체 그림의 통일성과 퀄리티를 감독하며 원화, 중간화를 검수한다.
- 총작감(Chief Animation Director): 여러 작화감독을 총괄하는 상위 책임자로, 보통 캐릭터 디자인도 함께 담당한다.
- 작화붕괴: 작화의 품질이 현저히 떨어지는 상태. 캐릭터의 외형이 무너지거나 비율이 어색한 경우 사용된다.
3. 음향·홍보 관련 용어
- OP/ED: 오프닝과 엔딩 곡을 의미한다. 작품의 인상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다.
- PV (Promotional Video): 작품 홍보용 예고 영상. 본편보다 먼저 공개되어 분위기를 전달한다.
- BGM: 장면에 맞는 배경음악으로 감정선 유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 SE (Sound Effect): 효과음. 장면에 몰입감을 더한다.
위 용어들은 모두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공식 용어나 업계 관용어다. 각 용어의 정의는 일본 애니메이션 업계와 국내 번역 출판물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VFX 전문 블로그나 Unity 공식 문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OTT 정보·추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상 감상·비평에 자주 쓰이는 용어 정리 – 영화를 깊게 보는 방법 (0) | 2025.04.30 |
---|---|
영화 촬영 기법 정리 – 장면에 숨은 연출의 비밀 (1) | 2025.04.30 |
2025년 상반기, 장르별 OTT 신작 추천 (2) | 2025.04.26 |
2025년 상반기 OTT 신작, 기대를 뛰어넘다 (1) | 2025.04.26 |
2025 어린이날 추천 – 13세 이하 아이와 함께 보기 좋은 OTT 콘텐츠 TOP 5 (0) | 2025.04.25 |